2023년 11월 27일, 중국
인민망연구원은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특허 분석
보고서'를
발표함
(1) 국가별 특허 출원
현황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에 대한 중국의
누적 특허 출원
건수는 6,618건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함
일본은 6,058건으로 2위를, 한국은 1,279건으로 3위를 기록하였고 프랑스(766건), 미국(685건), 독일(135건), 영국(66건), 캐나다(39건), 이탈리아(33건), 인도(29건)가 그 뒤를 이음
(2) 출원 시기에 따른
분석
초기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의 특허
출원은 주로 일본
출원인에게서
이루어졌는데
일본은 2000년부터
2008년까지 혼다(Honda)와
소니(Sony), 토요타(Toyota)를
중심으로 절대적
우위를 유지함
그러나 2014년 이후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특허
출원이 칭화대학,
베이징이공대학,
저장대학등의
대학과 유비텍(UBTECH)
등의 기업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함
중국 로봇기업
유비텍의 경우,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유효
특허 건수 1위를
차지하고 있음
이러한 결과에서
알 수 있을 듯이,
중국 기업 및 기관은
다수의 미래
지향적인 기술
레이아웃을
수행하고 다년간의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많은 핵심
기술을 비축했으며,
이러한 노력은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좋은 기술
기반을 마련하고
전반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킴
(3) 중국 정부의 관련
정책
2023년 6월, 중국
베이징시는
‘베이징시 로봇
산업 혁신 및 발전
행동 방안(2023-2025)'을
발표해 글로벌 로봇
기술 혁신의 근거지,
응용 시범 지역,
첨단 산업 클러스터
건설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제안함
2023년 8월,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3년 미래 산업
혁신 과제 발표 및
지도 업무 조직
개시에 관한
통지'를 발표해
메타버스,
휴머노이드 로봇,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범용 인공지능(AI) 등
4대 핵심 방향을
중심으로 2023년 미래
산업 혁신 과제를
발굴하고 지도
업무를 조직할 것을
통지함
2023년 11월,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 및 발전 지도 의견'을 발표해 2025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 시스템의 초기 단계를 구축할 것을 제안함
The content of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vide a general guide to the subject matter. Specialist advice should be sought about your specific circumstances.